풍선을 사용하여 세계를 Wi-Fi 구역으로...Google이 말하는 웅대한 목표는?



마이크 카시디씨는 미국 Google사의 비밀 연구소 "Google X"의 신규 프로젝트 "Project Loon" 지도자다.

팀의 목표는 Wi-Fi로 연결된 수천 개의 풍선으로 세계 규모의 Wi-Fi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라는 정말 웅대한 계획.

그런 미래 지향적인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카시디씨는 다음과 같이 우리들에게 대충 설명 해줬다.

- Project Loon을 계획하게된 계기는?

이전부터 높은 고도에서의 통신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었다.

그러나 모든 아이디어가 풍선을 지상에 계류 시킬지 아니면, 상공에서 어느 한지역을 떠도는 비행체를

할지 정하지는 않았었다. 그러다가 우리는 "풍선이 바람에 날려도 좋지 않은가?"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풍선이 날려도 다른 풍선이 빈 자리를 메울 수 있으니....


- 풍선의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처음에는 기상 관측소에 보통의 라우터를 설치했다. 그리고 라우터의 커버 범위를 15미터가 아닌 20km가

될 수 있도록 개조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아 있었다. 일반적인 기상 관측기구는 성층권까지 상승하면

파열해 버리는 것이었다. 우리는 100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풍선을 생각해냈다. 이를 위해 "슈퍼 압력기구"를

개발해야 했다. 방탄 소재로 한 45톤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풍선이다.


- 어떤 기술이 사용되고 있나? 기술 혁신이 되었나?

우리가 세계 최초로 안정한 고도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리의 풍선은 태양 전지판으로 발전하고, GPS로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이리듐의 안테나로 통신하고, 탑재 된

컴퓨터에서 명령을 받은 후 어디로 이동해야하는지 판단한다. 지상의 컨트롤 센터에서 풍선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다.


- 풍선은 상당한 거리를 이동한다. 어떤 풍선은 22일 동안 세계를 일주?

지금 그 풍선은 세계를 2번이나 돌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풍선으로 지구 전체를 Wi-Fi 지역으로 하는 것이다.


- 빌 게이츠가 "말라리아로 죽어가고 있는 이때, 그 풍선이 보이는 것으로, 그게 무슨 도움이 되는가?라고

말하고 있다...이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통계에 따르면, 광대역 사용률이 10% 증가하면 GDP(국내 총생산)가 1.4% 상승한다고 한다. 현재 GDP의 성장률이

3%의 국가에서 브로드 밴드 사용률이 20% 증가하면 성장률이 2배가 될 것이다. 그 결과, 생활 수준, 교육 수준,

보건 위생 등도 개선될 것이다.


Google의 비밀 연구소 "Google X"의 원대한 목표가 세계의 관심을 끄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봐야~~

Source : Q&A: Creating Global Wi-Fi--With Balloons